두루두루 공유

자동차도 추위타서 관리 필요합니다. 공기압 체크부터 해주세요.

꼬마대장 2023. 1. 28. 23:35
반응형

최근 영하 날씨가 반복되면서 사람도 추워 몸에 기능들이 떨어지거나 보충을 위해서 음식을 먹거나 예방차원의 운동을 하거나 하는 적절한 관리를 합니다.
차량도 추운 겨울 날씨에 적절한 차량관리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특히 겨울에는 타이어 고무가 추위에 쉽게 수축하면서 공기압이 갑작스럽게 떨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최근에 꼬마수다의 자동차 화면에도 공기압 체크확인 문구가 뜨더니 드디어 주의표기가 확인됩니다. 미국 연구에 따르면 공기압 이상이 사고의 50%를 차지한다고 하니 바로 조치가 필요하겠습니다.
타이어 공기압 초기화는 iTPMS라는소프트웨어로 타이어의 공기압 이상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초기 설정값과 다른 바퀴 회전수를 감지해 알려주는 방식으로 각 타이어의 공기압을 조정한 뒤 자동차 기능설정 메뉴에서 센서를 초기화하면 이 값이 기준이 됩니다.
즉 바퀴 회전수에 이상이 생기면 공기압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게 됩니다.

바로 요렇게 생긴게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입니다.

타이어 공기압 검점

1.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뜨는 경우

추워지는 날씨에는 공기압이 평소보다 쉽게 떨어집니다. 공기압이 부족하거나 과한경우 경고등 이미지와 같이 트레드 접지면이 고르지 못해 타이어 마모현상이 비정상적으로 발생됩니다. 특히 타이어 파열 및 사고 위험도가 높아지고 타이어의 가장자리면부터 빨리 닳아 타이어 수명이 단축됩니다.
또한 타이어 공기압 과다 주입시에는 타이어가 긴장상태가 되면서 외부 충격에 의한 파열 및 사고 위험이 높아지고 제동시 미끄러지기 쉽고 타이어 면의 가운데 부분만 빨리 닳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타이어 공기압 과다시 승차 시 차체가 운행 중 통통거린다고 느끼게 되는 현상도 이와 같은 이유입니다.
그래서 겨울철 차량 운행시 계기판에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TPMS)가 확인된다면 주유소, 정비소, 타이어판매점 등을 찾아가 빠른 조치가 필요합니다.

2. 내차에 적정 공기압 확인하는 방법

차량 적정 공기압 확인법은 다양하지만 내차 적정 공기압 확인은 차량의 운전석 옆 차량문 닿는 본체기둥에 표기가 보통입니다. 정말 모르겠다 하는 경우 차량 매뉴얼에 표기되어있으니 확인해 주세요.

내차 적정 공기압확인

3. 타이어 공기압 넣는 방법

꼬마수다는 부모님이 또는 배우자가 관리를 해주다 보니 따로 넣어본 경험은 없어서 이번에 유튜브 동영상으로 짧게 공부를 하고 주변에 타이어판매점을 찾아갔습니다.
동영상으로 공부를 해보니 공기압 넣는 방법은 간단했습니다.
차량 타이어 휠 안쪽에 타이어 밸브를 찾아 시계반대로 돌리면 열립니다. 혹시 자전거 타이어에 바람을 넣어보신 분이라면 쉽게 이해하실 거라 생각합니다. 주입구에 호스를 끼고 적정 공기압을 설정 후 넣어주면 됩니다.

타이어와 휠 연접부위에 있습니다.

설정한 공기가 채워지면 끝났다는 신호음이 호스 본체에서 들여오니 밸브를 잠그로 나머지 바퀴로 넘어가서 채워주면 됩니다. 이때 초보가 흔히 하는 실수로 호스만 끼워놓고 기다리시면 안 됩니다. 호스를 끼고 눌러줘야 바람이 빠르게 들어가 채워집니다.
꼬마수다는 타이어교환점에 양해를 구하고 넣으려 했더니 오호라~ 친절한 사장님이 직접 넣어주셨습니다.
저... 공부하고 왔는데요... 오늘 처음으로 직접 도전해보려 하는데요... 그래도 너무 감사합니다. 사실 긴장은 좀 했습니다.
꼬마수다는 차량에 혼자 타거나 1~2면의 아이들이 동승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확인해 보니 3인기준 35 PSI가 적정 공기압인데 사장님은 5인기준 범주가 39이니 보통 38 PSI을 넣는다고 말씀하시며 넣어주셨습니다.
돌아오는 길에 차량이 살짝 통통 거리는 승차감이 느껴지긴 하는데 바로 익숙해졌습니다.

이외에도 겨울철 차량관리 중에는 눈길운전을 위한 스노체인, 부동액보통 등이 있습니다. 차량에서 경고등이 확인되기 전에 미리미리 체크하셔서 안전한 운행에 도움 받으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