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루두루 공유

세종시 집값 하락에 미치는 영향 및 이유 알아봅니다.

꼬마대장 2022. 9. 20. 12:22
반응형

2020~2021년 사이 세종시 집갑은 평균 상승률이니, 집값이 보통 2배에서 3배 올랐었습니다. 세종시의 3억대 아파트는 세종시 행복도시 내에서도 지역에 따라 최소 6억에서 9억까지 올랐었으니까요. 현재는 세종시 부동산 시장 분위기는 많이 침체되어 2022년 올 상반기에만 -4%대로 떨어져 전국에서 낙폭이 가장 컸고 현재도 꾸준히 떨어지고 있어 전국 집값 상승폭 1위에서 하락폭 1위로 바뀐 상태입니다.
걱정되는건 아직 낙폭의 끝이 아니라고 전망하는 전문가들이 많다는 사실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집값 상승 및 유지할만한 이슈가 1도 없어 보입니다.
지역주민으로 살고 있으면서 딱히 집을 팔겠다 생각은 하지 않지만 주변 분위기가 뒤숭숭하고 궁금한 마음에 전문가들 의견도 들어보고 찾아보고 세종시 집값이 떨어지는 이유 몇 가지 내용 정리해봅니다.



◈ 단기간내에 집값 급상승으로 인한 부동산 거품이란 인식이 있습니다.
2020년~2021년 사이 세종시 행정수도 이전 가능성에 기대감이 커지면서 투자자들이 모이기도 하고 실제 거래량이 활발해지면서 1달 사이에 2000~3000만 원씩 상승했었고 실제 44% 이상 폭등했습니다. 투기꾼들이 버스를 대절해 방문, 며칠 사이에 매물로 나온 아파트들을 줍듯이 매입하고 간다는 소문이 돌았을 정도니까요.
빠르게 오른 자산에 거품이 끼었다는 인식을 조금씩 하게 되었고 부동산 시장에 조정과 하락장이 맞물리면서 급하게 하락하고 있는 모양입니다.

◈ 넘쳐나는 전세물량과 낮은 전세값
전셋값이 집값보다 비싼 경우는 아파트 실수요자들이 많아 기존에 설정된 전셋값에서 많이 내려가지 않고 꾸준하게 전세를 찾는 수요자들이 대기하게 되고 아파트 가격이 유지되거나 상승하는 현상이 있습니다.
하지만 세종시의 경우 전국적으로 투자자들이 많이 몰려 실 거주자들에 의한 매매가 아니다 보니 전세물량이 많습니다.
올해는 세종시 아파트 분양 공고가 많지 않았지만 앞으로 꾸준하게 아파트가 공급되는 계획이 있습니다. 공급량이 많아지더라도 아파트 분양 가격은 크게 변동이 없지만 공급량 과다로 인한 전셋값은 떨어지거나 더 이상 오르지 않을 것이 분명합니다. 전셋값이 저렴하다는 건 지역 아파트 실거래 가격이 높지 않게 거래된다는 이야기입니다

◈ 투기 과열지구 대상 제외, 조정 대상지역 유지 및 최근 고금리, 고물가, 인플레이션 상승
세종시는 지방지역 중 유일하게 투기지역, 조정대상지역, 투기과열지구 3종 규제를 받고 있는 지역입니다. 세종시만 빼고 지방 투기과열지구 해제로 세종시는 수도권을 제외하고 지방에서 유일하게 대출, 세제, 청약 관련해서 3종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옴짝 달 쌀 할 수 없게 손발을 꽁꽁 묶어 놓은 기분입니다. 투자자들의 과도한 투기를 방지하겠다는 의미였겠지만 실제적으로 거주하는 자나 지역 사업자들에게 크게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매물은 많아지는데 거래량은 감소하거나 아예 거래가 없고 금리가 높아져서 대출이자에 대한 부담도 커졌습니다. 그렇다고 집값을 무작정 내려서 팔 수도 없어 고심인 분들이 생겨나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최근 인플레이션이 상승되고 8월 소비자 물가지수가 6%대 후반부를 찍으면서 고물가 고금리로 서민 경제는 어려워지있습니다. 환율마저도 원달러 1400원대를 고지에 두고 치솟는 가운데 소비와 투자가 모두 침체하는 '복합 불황' 우려가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 세종시에 대한 지원 및 이벤트 감소 및 불투명성
국회 세종 의사당과 대통령 집무실 건립이 예정되고 최근에는 정부 과천청사에 있는 방송통신위원회와 정부 서울청사에 있는 여성가족부를 세종시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기사로 확인하였습니다.
행정수도 완성에 대한 의지는 보여주고 있지만 뚜렷한 계획은 내놓고 있지 않았습니다. 또한 정권이 바뀐 후 국정 업무 진행도 원활해 보이지 않아 보여 세종시에 예정되어 있는 계획들 진행이 투명해 보이기만 하지는 않습니다.
뉴스 기사 하나에도 영향을 많이 받는 지역이다 보니 덩달아 집값도 예민합니다.

이상 간략하게 세종시 집갑 하락에 미치는 영향 및 이유를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