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발성 난청은 순음청력검사에서 3개 이상의 연속된 주파수에서 30dB 이상의 청력손실이 3일 내에 발생한 감각신경성 난청이며, 때로 귀에서 소리가 나거나(이명), 귀가 꽉 찬 느낌(이충만감), 현기증을 동반하기도 한다. 대부분 한쪽 귀에 발생하고 30~50대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한국에서도 연간 10만 명당 10명 이상 발병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우선 돌발성 난청이 뭔지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
정의
원인
돌발성 난청은 대부분 원인을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치료에 대한 반응이나 예후가 다양한 만큼 원인은 다인성(multifactorial) 일 가능성이 높다. 주된 원인으로 알려진 것은 바이러스 감염 혹은 혈관장애이고, 그 외 와우막 파열, 자가면역성 질환, 청신경종양 및 기타 원인(외림프 누공, 당뇨, 척추 동맥 손상, 급작스러운 소음 노출 등)이 있다.
증상
확실한 원인 없이 감각신경성 난청이 수 시간 또는 2~3일 이내에 갑자기 발생하고, 이충만감, 이명, 또는 현기증을 동반하기도 한다.
진단/검사
돌발성 난청의 진단은 치료 가능한 원인들을 차례로 제외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어 진행된다.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를 하면 예후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 증상이 나타난 후 경과된 시간과 최근의 육체적, 정신적 활동, 동반 증상 등이 중요한 요인이 되고, 과거의 병력은 난청의 위험인자를 검색하는 데에 유용하다. 기본적인 청력검사와 정밀 청력검사를 시행하여 난청의 정도를 알고, 다른 원인 질환들을 감별한다.
기본적인 병력청취와 이경 검사를 실시하고 청력검사를 하여 난청의 정도를 알고, 다른 원인 질환들을 감별하도록 한다.어지럼증이 있으면전정기능 검사를 추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종양 발생의 감별을 위해 MRI 등의 영상 검사를 진행하고, 원인이 될 만한 내과적 질환이 있는지 살피려는 목적으로 각종 혈액검사와 염증성 질환 검사 등을 시행한다.
치료
원인불명의 돌발성 난청에 쓰이는 치료제 중 유일하게 효과를 인정받고 있는 것은 스테로이드로, 그 외 혈액순환 개선제, 혈관 확장제, 항바이러스제, 이뇨제, triiodobenzoic acid 유도체를 사용되기도 한다(대개 입원한 경우는 정맥 주사하고, 외래에서는 경구 복용한다). 추정되는 원인이나 증상에 따라서 고막 안쪽에 스테로이드를 직접 주사하거나 수술적 요법 등으로 치료한다. 이 모든 치료는 입원하여 절대 안정을 원칙으로 하며, 치료와 함께 청력검사를 통해서 치료 경과를 관찰하여야 한다.
◆◆◆◆◆◆◆◆◆◆◆◆◆◆◆
주변을 둘러보면 잘 몰랐던 돌발성 난청을 앓고 치료 받으신분들이 생각보다 많다는걸 알게 됩니다.
오늘은 꼬마수다도 겪은 돌발성 난청 치료기 올려드립니다.
평소 아무렇지 않게 들리던 에어컨과 선풍기 소리가 유난히 시끄럽게 들리면서 에어컨의 진동까지 느껴지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말을 하는데 내 목소리가 귀에서 메아리처럼 들리기도 하고 티브이 정규방송이 끝나고 나는 지지직거림이 귀에서 들리기도 하고 이상하다 이상하다... 그래서 병원을 찾았습니다.
"선생님, 오른쪽 귀에서 잡음이 많이 나고 소리가 자극적으로 들립니다."
"어지럽지는 않으세요? 요즘 몸 상태나 컨디션은 좀 어떠셨나요"
이렇게 시작한 이비인후과 진료와 검사결과 돌발성 난청!
분명 오른쪽 귀가 이상하다고 느껴서 왔는데 왼쪽 청력이 평균 레벨에서 40% 이상 떨어졌다며 그사이 안 들리지 않았냐고 물으십니다. 며칠 한쪽 귀로만 듣고 살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하니 허탈해지면서 걱정이 앞서기 시작합니다. 최근 2달 사이 늦은 시간까지 책을 보거나 하고 싶었던 작업들을 하느라 밤샘을 여러 날 했습니다
생각해보니 몸에서 신호를 보내오고 있었어요. 누적된 만성피로가 느껴졌고 이상적으로 체중이 감량되고 과제에 과몰입하면 어지럽기도 했는데 제가 이상 신호들을 무시하고 지냈던거죠.
돌발성 난청에서 중요한 건 치료 시기입니다.
발생하고 빠르게 발견해서 치료를 받을수록 치료 효과가 좋다고 회복되는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이상 증상이 나타난 지 3~4일 지났다는 불안감은 있지만 선생님 믿고 바로 치료 시작합니다.
가장 먼저 시작은 청력검사와 함께 스테로이드 고막 주사와 스테로이드 경구 복용을 병행합니다. 치료받으신 분들의 예를 확인해 보니 고막에 스테로이드 주사만 맞았다는 분들도 계신데 꼬마 수다는 경구 복용과 병행했습니다. 상태가 많이 좋지는 않았나 봅니다. 보통은 1일 12알부터 시작하는데 저는 10알부터 아침저녁 나누어 추가로 처방된 혈행개선제와 소화제와 함께 복용합니다.
고막에 주사를 맞는다는 걸 상상도 해 본 적이 없는데 막상 청력을 상실할 수도 있다는 두려움에 용기를 내고 맞습니다. 고막 주사는 맞은 후 20분 동안 움직이지 않고 누워있어야 합니다. 귀는 코와 입과도 연결되어 있어서 약물이 넘어갈 수 있어서 말을 하거나 침을 삼키면 안 된다고 하셔서 꼼짝 않고 시간을 지켜 누워있었답니다.
꼬마 수다의 질문에 담당 의사 선생님은 고막 주사는 최대 10번까지 맞을 수 있다고 설명하세요. 보통은 4번을 한 사이틀로 맞고 회복이 된다고 하는데 꼬마 수다는 4번 이후에도 회복의 기미도 없었어요. 이명이나 먹먹함도 꾸준히 있으면서 잠시 사라지기도 하고 여전히 한쪽 귀로 잡음이 심하고 자극적으로 들립니다.
중간 청력검사 결과도 더 나빠져서 좋아지지 않는 예인가 보다 걱정과 좌절감이 들 무렵 6번째 고막 주사를 맞는 날 저녁부터 기적처럼 귀가 들리기 시작했답니다. 이후 이명 횟수도 줄고 먹먹함은 빠르게 사라지는 걸 느낍니다. 회복은 사람마다 상태마다 다르니 줄자로 잰 것처럼 딱 선 그어 단정 지을 수 없는 게 치료 효과입니다. 혹 빠른 회복이 안된다고 느끼시는 분들이라도 선생님 믿고 끝까지 치료받으셔야 합니다.
돌발성 난청은 무조건 안정하고 잘 먹고 잘 쉬어야 회복률이 높습니다.
돌발성 난청의 경우 입원하여 절대 안정을 원칙으로 하며, 치료와 함께 청력 검사를 통해서 치료 경과를 관찰합니다. 환자는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하므로 환자가 편히 쉴 수 있도록 조용하고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건강 문제는 내 의지와 상관없이 불쑥 찾아오기도 하니 여러분 모두 평소에 건강관리하시면서 잘 먹고 잘 쉬고 편안한 마음으로 일상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꾸벅.
![](https://blog.kakaocdn.net/dn/pUZy2/btrJgxHaELb/XpUHekQT7tttkhqWGhG8mk/img.png)
'두루두루 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용개와 애완견은 다르지 않아요. (4) | 2022.08.12 |
---|---|
파비콘이 뭐지? 이미지 PNG, JPG, BMP 아이콘 파일 ICO 변환하기 (2) | 2022.08.10 |
한국 첫 달 탐사선 다누리 우주로 발사됐다. (2) | 2022.08.05 |
새우깡, 포카칩 제치고 요즘 제일 인기있는 과자는? (0) | 2022.08.05 |
아이들의 행동, 인지 발달 단계를 고려하지 않은 만 5세 입학 생각해 보아야합니다 (2) | 2022.08.02 |